본문 바로가기
정보공유

유심 보호 서비스 외에 해킹 관련 고객이 할 수 있는 보안 방법 (LG, SK, KT별 안내)

by 청연이 2025. 4. 26.
반응형

모바일 보안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, 유심 보호 서비스 외에도 이동통신사별로 제공하는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활용하고,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추가 보안 방법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LG유플러스, SK텔레콤, KT별로 제공하는 주요 보안 서비스와 함께 고객이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
1. SK텔레콤(SK텔레콤 고객 대상)

  • T안심 서비스: 스미싱 문자, 악성 앱 설치를 차단해주는 무료 보안 서비스입니다. T월드 앱이나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모바일OTP 활성화: 금융 앱이나 본인 인증 앱에 OTP 기능을 연동하여 이중 보안을 적용합니다.
  • 2단계 인증 설정: 주요 포털사이트 및 금융사이트 계정에 대해 2단계 인증(문자, OTP 등)을 반드시 설정합니다.
  • 최신 보안 업데이트 유지: 스마트폰 운영체제(OS)와 앱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합니다.
  • 찾아줘 폰 서비스 이용: 분실 시 휴대폰 위치 조회 및 원격 잠금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알뜰폰 이용 고객도 보안 강화 가능: SKT 기반 알뜰폰 사용자도 유심 보호 및 고객센터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합니다.
  • 유심 복제 방지 설정: T world 앱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유심 복제 방지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   

USIM 복제방지 설정

  • KT 모바일 보안팩: 바이러스 검사, 악성코드 탐지, 스팸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유료 부가 서비스입니다.
  • 본인 인증 강화: KT PASS 앱을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안전한 본인 인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스팸 차단 앱 사용: KT스팸차단 앱을 설치하여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이상거래 모니터링: 본인 명의 통신요금, 소액결제 내역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거래를 조기에 감지합니다.
  • 분실폰 안심 서비스: 폰 분실 시 원격으로 잠금, 초기화, 위치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.
  • KT 모바일 고객센터 앱 보안 강화: 앱 내 비밀번호 설정과 보안 기능 강화를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유심 변경 시 추가 인증: 유심 교체 절차에 별도의 인증 절차를 추가해 무단 변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3. LG유플러스(LG U+ 고객 대상)

  • U+ 스마트보안 서비스: 악성 앱 차단, 스미싱 탐지, 개인정보 유출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입니다.
  • U+모바일 전자지갑: 공인인증서, 신분증 등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전자지갑 앱을 사용합니다.
  • 문자/전화 피싱 차단: 문자나 전화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할 경우 U+ 스팸차단 서비스를 적극 활용합니다.
  • 공공 와이파이 사용 주의: 보안이 취약한 무료 와이파이 대신 통신사 제공 인증된 와이파이(WiFi)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  • U+ 인증 서비스 이용: 'U+인증' 앱을 통해 2단계 본인인증을 설정하여 금융 거래 및 로그인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U+ 폰 분실/도난 방지 설정: 분실폰 찾기 기능으로 원격 잠금 및 데이터 삭제가 가능합니다.
  • 유심 교체 알림 신청: 유심 변경 시 실시간으로 알림을 받아 이상 징후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고객센터 앱 비밀번호 설정: 요금 조회, 서비스 변경 시 별도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.

4. 공통으로 고객이 스스로 지켜야 할 보안 수칙

  •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: 단순한 숫자 조합 대신 특수문자, 대소문자 조합을 사용해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
  • 정품 앱 다운로드: 검증되지 않은 출처의 앱은 설치하지 않고, 공식 스토어(구글플레이, 앱스토어)만 이용합니다.
  • 불필요한 권한 차단: 앱 설치 시 과도한 개인정보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경우 신중히 검토하고 거부합니다.
  • 정기적인 보안 점검: 스마트폰 내 보안 앱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검사를 실시합니다.
  •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(통신사 계정 및 인증 앱 포함)
  • 불필요한 앱 삭제 및 앱 권한 최소화
  • 공공 와이파이 사용 시 VPN 접속 이용
  • 통신요금, 이용내역 정기적 점검

결론

유심 보호 서비스 외에도 각 통신사별 다양한 보안 솔루션과 개인의 적극적인 보안 의식이 모바일 해킹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. 작은 습관 하나가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으므로, 오늘부터라도 스마트폰 보안 관리에 신경 쓰는 습관을 가져보세요! 유심 보호 서비스만으로는 해킹을 완전히 막을 수 없습니다. 각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, 일상 속에서도 경각심을 유지하는 것이 모바일 보안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

728x90